본문 바로가기
스토리1

문맹의 내 어미- 사랑밭

by 뜬 눈 2007. 2. 5.

This story is about my early childhood.
My mother was illiterate
and she often asked to me to read an article.
Every time my mother asked me doing that,
I felt shame about her.

저의 철부지 어린시절의 얘기입니다.
까막눈이었던 어머니는 매번 글을 읽어달라며
제게 부탁을 하시곤 하였는데,
그런 어머니가 정말 창피했습니다.


One day, I drew a picture of cucumber,
pumpkin, apple and Chinese cabbage
on the paper to make my mother literate.

어느 날은 맘먹고 공책에 오이, 호박, 사과, 배추
이런 것들을 직접 그려가며 글을 가르쳐 보려고도 했었죠.


However, my mother couldn’t
have those chances to lea
However, my mother was too tired to learn.
Since my mother spent all day long to sell
trash pulling a bicycle-drawn cart,
she couldn’t learn a language due to his fatigue.

그렇지만, 리어카를 끌며 고물장사를 다니셔야했던
어머니의 고된 삶이
그런 배움의 시간조차도 허락하질 않았습니다.


I didn’t know my mother’s mind
and felt bitter against for my mother’s illiteracy.
I always spat out the words that can hurt
my mother’s mind like saying this
"I don’t know, do you understand that I know it!"

그런 어머니의 맘도 모른 채
저는 어머니의 무지를 더 원망했고,
"몰라, 내가 그걸 어떻게 알아!"
가슴에 상처 주는 말들로 쏘아붙이기 일쑤였죠.


A long time has passed
and I became mother of a children.
I am told off from my daughter because
I can’t know English words very well.

어느덧 세월이 흘러 결혼한 저는 엄마가 되었고,
이제는 영어단어 모른다고
어린 제 딸에게 핀잔을 듣게 되었습니다.


However, my daughter volunteered to teach
a language her maternal grandmother once a week
My mother was much pleased to hear that
and a broad smile covered her wrinkled face.

그래도, 딸아이가 기특한 것이
일주일에 한번 외할머니에게
글을 가르쳐 주겠다는군요.
그것이 그렇게도 좋으신지
주름진 어머니의 얼굴에
함박웃음이 활짝 피었습니다.


Still my mother leaves home for her
cleaning job every 4 o’clock in the early morning.
Whenever I see my mother’s back,
my tears gather in my eyes.
I always feel sorry for my mother
who can’t live in comfort.
"Since I felt shy, I never say to you,
Mother I really love you."

아직도 새벽 4시면 청소 일을 나가시는
늙은 어머니의 뒷모습을 보며
편안히 모시지 못하는 죄송스런
마음에 눈물이 흐릅니다.
"쑥스러워 한 번도 말 못했지만,
엄마 정말 사랑해요."


- 박 은 경 -


---------------------------------------


The grandmother might have no chance of
learning opportunities due to her hardship.
Also she might feel bitter her daughter’s fretful words.
Now the grandfather will grasp pencils again
with her cracked hand like a rice paddy to
learn a language.

힘겨운 삶의 무게 때문에
글을 배울 여유가 없었던 어머니
딸자식의 모진 말에 가슴이 아팠을 어머니
할머니가 되어서야 연필을 다시 잡게 되었습니다.
이미 다 갈라져 논바닥처럼 변한 손으로 말이죠.

'스토리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용이란 - 사랑밭  (0) 2007.02.07
우리 가족을 행복하게 하는 10가지 방법 - 사랑밭  (0) 2007.02.06
킴 아줌마  (0) 2007.02.04
인생에서 포기란 - 사랑밭  (0) 2007.02.03
야사모 난 농원방문  (0) 2007.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