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466 생활지도가 아동학대가 되지 않기 위한 대책 교사의 정당한 생활지도와 아동학대 관련 요점 정리 1. 문제인식 - 교사의 정당한 생활지도가 아동학대라는 범죄로 평가되어서는 안 됨. - 이를 방지하기 위해 평소에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함2. 아동학대 판단 기준 아동의 의사에 반하는 훈육행위가 정서적 학대인지 여부 판단 시 고려할 요소: 가. 행위의 유형과 강제력의 정도 나. 행위의 배경과 목적 다. 사회통념상 훈육으로서 허용되는 범위를 넘었는지 여부 라. 행위가 감정적으로 치우치거나 충동적이었는지 여부 마. 행위자와 아동의 관계 바. 사건 발생 후 아동의 태도 3. 아동학대가 되지 않기 위한 교사의 준비 가. 행위의 유형과 강제력 표현은 구체적일 것 - 위협했다(X) ---> 가위를 들어 친구에게 들이밀었다. .. 2025. 7. 7. 나는 언제 살아있는가? 나는 언제 살아있음을 느끼는가?생각할 때,생각의 주제와 함께나는 내가 살아있음을 느낀다. 반호프쪼 거리의 아이들에서 껌을 씹으며 자신의 존재를 느낀 아이가 있었다. 난 다행히 살아있고, 실존하고, 생각을 글로 옮기는 행운을 받고 있다. 2025. 7. 1. 선생님, 직장 상사 등 친하지 않은 사람에게 질문하는 방법 A. - 간절하게 듣고 싶은 말이 있는데 질문이 명확하지 못한 상황** 는 어떤가요? ---> 어쩌라고, 뭔 얘긴데? ** 알고계세요? ---> 어쩌라고, 뭐가 궁금한건데? B. **가 있었다고 들었습니다. 알고 계신걸 알려주십시오.모르신다면 어떻게 된 일인지 알아봐주세요. 때때로 남편은 매우 곤란하다.느닷없이 "알지?", "어떻게 생각해?", "어떻게 할까?" 하면무슨 생각을 해야하는지, 무슨 답을 해야하는지머리에 쥐가 난다고 하였었다. 아내도 정말 미치겠다."그건 어디에 있나요?"하면 그건 뭘 떠올려야 할까?"그래서 어떻게 되었어요?" 하면 뭐가 어찌되었냐는 걸까? 질문이란 건,주요 단어만이라도 나열해서 상황을 떠올리게 해주고 질문하자. 2025. 6. 26. 뻥뷰의 비 갠 저 산 빗 속에 뛰놀다 배고파 들어오면머리를 말려주는 손보다밥이 급했다. 이 산 저 산산지기들은 몽땅조반 짓고, 여물 끓이고, 군불 때는 데 그 시절뜻도 잘 모르는 단어를아는 양 줄줄이 꿰며밥을 종용하던 엄마께 갱년기 딸은방아쇠 당기는 손가락과한 걸음이 형벌 같은 족저근막염 핑계를 대 본다. 엄마의 밥이 마냥 좋은 50대 후반 2025. 6. 26. 이전 1 2 3 4 ··· 117 다음